가짜뉴스를 잡아라 (서울경기케이블TV)

가짜뉴스를 잡아라 (서울경기케이블TV)

【 앵커멘트 】 선거 때면 으레 등장하는 단어, 가짜뉴스라는 말, 자주 접하셨을 겁니다 기사 형식을 빌어 그럴싸하게 거짓정보를 흘리는 걸 말하지만 미디어가 다양해지면서 그 형태도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이슈체크 6 13, 오늘은 선거 때마다 퍼지고 있는 가짜뉴스에 대해 알아봅니다 /// 먼저 백제 무왕이 어린시절 지었다는 서동요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신라 진평왕의 셋째딸인 선화공주가, 밤마다 몰래 서동의 방을 찾아간다는 내용인데 선화공주를 사모한 서동이 이 거짓 노래를 퍼뜨렸고, 결국 궁에서 쫓겨난 선화공주와 서동이 결혼하게 됩니다 본인의 사리사욕을 위해 퍼뜨린 전형적인 가짜뉴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을 호도해 이익을 얻으려는 일은 현대사회에 이르러서는 매 선거 때마다 발생하고 있습니다 아니,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번 지방선거를 앞두고 적발된 사례 중 거짓말 사범은 지난 지방선거에 비해 두배 늘었습니다 미국에서 시작된 가짜뉴스가 언론사 사이트를 흉내낸 것이라면 우리나라에서 기승을 부리는 가짜뉴스는 소위 '지라시형'이 많습니다 가짜뉴스를 받아본 경로를 조사해보니 카카오톡 등의 문자메시지와 포털사이트가 가장 많았고, 페이스북같은 SNS가 뒤를 이었습니다 (1) 문제는 진짜뉴스보다 가짜뉴스가 더 빠르게 확산된다는 겁니다 (2) 이를 악용해 선거 때마다 지라시 형태의 가짜뉴스가 증가하고 있는 이유 중 하납니다 //// 선거의 당락을 목적으로한 악의적인 유포도 문제지만 죄의식 없이 퍼나르고 SNS를 통해 쉽게 전달할 수 있다는 점도 가짜뉴스의 확산의 원인입니다 모르고 가짜뉴스를 전달하거나, 허위글을 작성했더라도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중앙선관위는 가짜뉴스 판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정보원을 살피고, 기자의 이름과 이메일을 확인하고, 언제 기사인지, 또 비슷한 내용의 다른 기사를 검색해 볼 것 여기에 '충격', '경악' 같은 과장된 어휘가 사용됐다면 일단 의심을 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 선관위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전담팀을 꾸려 실시간 온라인 모니터링을 하고 있습니다 카카오와 네이버는 다음달부터 허위사실 게시를 제한하거나 임의로 삭제할 수 있다는 약관을 적용하고 구글코리아도 유튜브 가짜뉴스를 막기 위해 신고센터를 마련합니다 하지만 뽑아도 뽑아도 늘어나는, 잡초같은 가짜뉴스를 막기 위해서는 유권자들, 더 나아가 우리 모두가 나서야 할 겁니다 이슈체크 6 13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