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학개론] 역사로 살펴본 전염병과 기후변화의 관계  / YTN 사이언스

[날씨학개론] 역사로 살펴본 전염병과 기후변화의 관계 / YTN 사이언스

■ 이재정 / 케이웨더 예보팀장 [앵커] 최근 에볼라나 메르스, 지카 바이러스 등 지구촌을 위협하는 신종 감염병이 등장하고 있는데요 이런 전염병은 기후변화와 매우 밀접하다고 합니다 오늘 (날씨학개론)에서는 '전염병과 기후변화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케이웨더 이재정 예보팀장과 함께합니다 어서 오세요 페스트나 콜레라 등 전염병은 인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쳐왔습니다 그리고 그 전염병을 기후변화가 초래했다는 이야기도 있는데요 천연두 역시도 결과적으로 기후변화가 요인이 되면서 상당한 피해를 불러일으켰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이건 어떤 이야기인지 자세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인터뷰] 영화 '1492 콜럼버스'는 1992년 작품으로 콜럼버스의 미 대륙 발견을 소재로 한 영화입니다 콜럼버스가 항해 도중 여러 어려움을 겪은 후 도착한 곳은 서인도제도의 과나이아니 섬으로 그는 이 섬을 산살바도르 섬이라고 명명합니다 이 섬에서 환대받은 콜럼버스는 스페인으로 돌아가면서 선원 중에 39명을 나비디드라는 요새에 남깁니다 그런데 이 39명이 문제가 되어 미주대륙의 역사는 바뀌고 맙니다 콜럼버스가 세계역사에 끼친 영향은 너무 크죠 아메리카, 나아가 미국 탄생의 시발점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당시 미주지역에 존재했던 아즈텍, 잉카문명에게 콜럼버스는 저주의 씨앗이었습니다 대륙의 전염병인 천연두가 그들을 통해 원주민들에게 고스란히 전해졌기 때문입니다 아무 저항력도 가지지 못한 그들에게 말입니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연구팀에 따르면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1492년 아메리카 대륙과 카리브해 지역에 처음 도착한 이후 약 백 년 동안 약 5천600만 명의 원주민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원주민 인구는 최대 90%까지 감소했다고 합니다 [앵커] 전염병으로 미주대륙의 원주민들이 거의 몰살 수준이 된 것이네요 [인터뷰] 그렇죠 덧붙여서 몇 가지 사례를 살펴보지요 천연두로 멸망한 가장 비극적인 문명은 콜럼버스가 맨 처음 상륙했던 곳에 있었던 타이노(taino) 문명입니다 1516년에 천연두가 타이노족에게 처음 발병했는데, 당시 타이노 족은 최대 8백만 명 정도였던 것으로 추산됩니다 그러나 1,555년에는 모두 사망하면서 타이노 족은 모두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두 번째 사례는 멕시코의 아즈텍 문명입니다 스페인과 아즈텍 문명과의 전쟁 중에 유럽인에 의해 전파된 천연두가 아즈텍 원주민을 강타했는데요 단 몇 주 만에 수도인 테노치티틀란 인구의 거의 반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아즈텍의 몬테수마 황제를 비롯한 수많은 병사가 죽었고 죽지 않았어도 제대로 전투를 할 수 있는 병력은 드물었다고 해요 아즈텍 제국의 2천5백만 명이던 인구는 1522년에는 단 백십만 명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아즈텍 문명은 천연두로 인해 영원히 과거에 묻히고 말았습니다 [앵커] 천연두가 세계의 역사를 바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그러면 천연두와 기후와의 관계는 무엇인가요? [인터뷰] 의학 전문가들은 15세기에서 16세기에 걸쳐 천연두가 잘 전파될 수 있는 기후였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또 다른 것은 거의 전멸된 미주지역 원주민들로 인해 지구의 기후가 변했다는 사실입니다 고기후학에서 밝혀낸 지구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를 보면 농도가 감소한 시기가 있어요 하나가 몽골 침략전쟁 시기로 엄청난 사람들이 죽었던 비참한 전쟁이었습니다 그리고 두 번째가 바로 유럽인들의 미주지역 침략 시기죠 이로 인해 북미와 남미에 거주하던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