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브리핑] 신규 확진 700명대…2차 접종 시 유의할 점은? / YTN 사이언스

[코로나19 브리핑] 신규 확진 700명대…2차 접종 시 유의할 점은? / YTN 사이언스

■ 김정기 / 고려대 약학대학 교수 [앵커] 13일 하루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747명으로, 이틀 연속 7백 명대를 기록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차 접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현재 코로나19 상황, 고려대학교 약학대학 김정기 교수와 자세하게 짚어보겠습니다 전화로 연결합니다 교수님, 나와계십니까? 닷새 연속 증가세입니다 그런데 감염 재생산지수가 0 94로 4월 이후 가장 낮은데도 확산세가 잡히지 않고 있거든요 왜 그런 걸까요? [인터뷰] 말씀하신 감염 재생산지수는 중규모 혹은 대규모 집단감염이 발생하면 동반 상승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현재 상황을 보면 중규모 또는 대규모 집단 감염보다는 집단감염의 형태 중에서는 소규모집단 감염이 주로 발생을 하고 있거든요 최근 집단감염 발생비율도 전체확진자의 약 22% 정도로 비교적 낮은 편입니다 그렇다 보니 어떠한 형태든 간에 집단감염보다는 개인 간 전파 즉 선행확진자 접촉에 의한 감염비율이 상당히 높고 실제로 보이는 최근의 경향은 40% 정도를 보입니다 여기에 감염경로 불명의 비율도 30%에 육박을 하고 있으므로 신규확진자 규모가 700명을 넘는 상황에서도 감염 재생산 지수는 1 이하를 나타내는 수밖에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감염 재생산 지수가 현 상황을 방역하지 못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로는 감염 재생산지수만 가지고 평가를 할 수는 없고요 의심환자 검사 양성 비율이라든지 감염경로 미확인 사례라던가 변이바이러스 확산 양상이라던가 다양한 지표를 조합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앵커] 앞서 말씀드렸듯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차 접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1차 접종 후에 발열 같은 이상 반응이 나타났을 경우 2차 접종 때도 다시 이런 이상 반응이 생기지 않을까 우려될 수 있는데요 2차 접종을 할 때 유의할 점이 있다면요? [인터뷰] 일단 1차 접종후 이상 반응을 겪지 않으셨거나 발열 근육접종 발열 부위의 통증 등 비교적 경미한 극소부위 이상 반응을 경험하신 경우에는 큰 무리 없이 2차 접종을 받으셔도 무방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만일 화이자든 아스트라제네카든 1차 접종 이후에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 대표적으로 후두부종이라던가 호흡곤란, 어지럼증, 저혈압 실신 등을 경험하셨다면 2차 접종으로 인해서 중증 알레르기 반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2차 접종을 피하시는 것이 좋고 사전에 만일 접종을 하게 된다고 하면 사전에 의사와 충분히 상의를 하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반면에 심각하지 않은 알레르기 반응 가려움증이나 피부발진, 두드러기 같은 경우를 경험하셨으면, 더군다나 이러한 경우에 항히스타민 투약 후에 무리 없이 호전되었으면 계획대로 2차 접종을 진행하셔도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 경우에도 2차 접종 후에도 더 심한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사전에 의사와 충분한 상의를 하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앵커] 1차 때 큰 문제가 없었다면 2차 때도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정리할 수 있겠는데요 백신을 맞고도 확진된 사례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2차 접종 후에 항체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을까요? [인터뷰] 비단 코로나19 백신뿐만 아니라 어떤 백신이든 간에 백신 접종 완료 후에 항체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항체가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형성 정도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고요 그러므로 백신 접종 완료 후에도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실 수 있습니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