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로 세상읽기](108문 108답) 41문 중국선종의 2조 혜가 ②. 중국 선종의 선문답의 효시, 안심문답](https://poortechguy.com/image/k4g_ty1khII.webp)
[불교로 세상읽기](108문 108답) 41문 중국선종의 2조 혜가 ②. 중국 선종의 선문답의 효시, 안심문답
#혜가 #달마 #안심법문 붓다의 언어법, 그 중에서 특히 문답법은 중국으로 건너와서는 제자와 스승 간의 문답 형태로 발전하였는데, 조사선에서 말하여지는 ‘선문답(禪問答)’이 바로 그것이다 주지하듯이 불교에서의 선문답은 붓다와 상족제자(上足弟子)인 마하가섭(摩訶迦葉)사이에 있었던 ‘염화시중(拈華示衆)의 미소(微笑)’가 그 효시(嚆矢)라고 회자된다 물론 이 일화에서는, 이심전심(以心傳心), 말이 오고 가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선문답이라는 것이 꼭 언어를 통하여 진행되는 것이 아니기때문에 이 사건을 선가에서는 선문답의 원형이라고 여기고 가섭을 선의 초조로 말하기도 하는 것이다 이 선문답이 언어적인 형태로 나타난 것은 달마와 그의 제자 혜가 사이에 있었던 ‘안심문답(安心問答)’이다 “이후 중국 당대(唐代)에 절정을 이룬 조사선의 선문답에 관한 내용은 주로 어록(語錄)인 무문관, 벽암록, 경덕전등록, 종용록 등에 수록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