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정예 선진 강군] 한국형 자주도하장비 ‘수룡’ 최초 실전배치 [KFN]

[2024 정예 선진 강군] 한국형 자주도하장비 ‘수룡’ 최초 실전배치 [KFN]

[KFN뉴스] 2024 06 12 [2024 정예 선진 강군] 한국형 자주도하장비 ‘수룡’ 최초 실전배치 [KFN] 육군이 한국형 자주도하장비인 KM3, ‘수룡’을 전력화해 7기동군단에 최초로 실전배치했습니다 이전보다 적은 병력으로 더 빠른 도하가 가능한 만큼 도하작전의 패러다임이 바뀔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태검기자 가 현장 다녀왔습니다 수십 대의 드론이 하늘을 뒤덮고, 강에는 무인수상정이, 지상에는 무인수색차량이 도하지역을 정찰합니다 뒤이어 K2전차와 보병전투차량이 강가를 점령하고 아파치 헬기가 하늘을 지킵니다 안전이 확보되자 수룡 2대가 결합된 뗏목 형태의 문교에 전차가 탑승하고, 물보라를 일으키며 나아갑니다 보다 많은 지상전력이 이동하기 위한 다리인 부교도 만들어집니다 수룡에 장착된 크레인의 힘으로 빠르게 부교를 완성하고 지상병력이 줄지어 강을 건넙니다 육군과 방위사업청이 12일, 7공병여단 도하훈련장에서 한국형 자주도하장비 수룡의 전력화 행사를 열고 작전에 투입될 수룡의 모습을 선보였습니다 [박안수 육군참모총장] : (수룡은) 육군 유일의 기동군단인 7군단에 최초 배치되고 이후 전 부대로 확산되어 공격 속도를 향상시키고 작전 템포를 보장함으로써 지상전 승리의 견인차 역할을 하리라 확신합니다 수륙양용 차량과 부교 구조물이 합쳐진 자주도하장비 수룡은 지난 2021년부터 방사청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이 독일의 자주도하장비 M3를 국산화하는 기술협력생산으로 사업이 추진됐습니다 [이태검 기자 / news1@deam mil kr] : 저는 지금 문교 형태로 이동 중인 수룡에 탑승해 있습니다 한국형 자주도하장비인 수룡은 강과 하천이 많은 한반도 지형에서 지상작전의 승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기존 도하장비인 리본부교와 비교해 운용 병력은 최대 80퍼센트, 설치 시간은 60%정도 감소했으며, 6시간에 달했던 별도의 준비시간은 이제 사라졌습니다 육상에서는 최고 시속 70km로 기동하고 수상에서는 기존보다 2배 빨라졌습니다 또 부품 국산화율이 90퍼센트에 달하고, 우수한 방호력과 화생방 방호장치를 갖춰 승무원의 생존성도 올라갔습니다 [홍시완 대위 / 육군 7공병여단 도하단 자주도하중대장] : 한국형 자주도하장비 수룡을 처음 운용하게 된 것에 무한한 자부심을 느낍니다 앞으로 한국형 자주도하장비 운용을 통해 승리하는 자주도하중대가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육군은 오는 2027년까지 7기동군단에 수룡 전력화를 완료하고, 이후 전 군단과 해병대에도 추가 배치할 계획입니다 KFN뉴스 #이태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