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고위급 회담 시작…평창ㆍ남북관계 논의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남북 고위급 회담 시작…평창ㆍ남북관계 논의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남북 고위급 회담 시작…평창ㆍ남북관계 논의 [앵커] 남북 고위급 회담이 10시부터 판문점 남측지역 '평화의집'에서 시작됐습니다 남북은 전체회의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회담에 돌입하게 되는데요 남북회담본부에 나가있는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 임혜준 기자 [기자] 네 남북은 오전 10시부터 본격적인 회담에 들어갔습니다 우리측 수석대표인 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북측 수석대표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가벼운 인삿말을 주고받았습니다 우리측 조명균 장관은 "평양에서 내려오시는데 불편하지 않으셨냐"고 대화의 포문을 열었습니다 리 위원장은 이에 대해 "자연의 날씨보다 북남관계가 더 동결상태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면서 그만큼 북남 고위급 회담이라는 귀중한 자리가 마련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남북이 진지한 입장과 성시한 자세로 이번 회담에 임해서 이번 고위급 회담에 큰 기대를 걸고 있는 온 겨레에 새해 첫 값비싼 결과물을 드리는 것이 어떨까하고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대해 조 장관도 "민심에 부응해 회담을 진지하고 성실하게 임해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북측의 귀한 손님이 오는 만큼 평창올림픽이 평화축제로 잘 치러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답했습니다 또 "'첫술에 첫숟갈에 배부르랴'하는 이야기도 있다며 서두르지않고 끈기를 갖고 하나하나 풀어가면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예정된 시간이었던 9시 30분 쯤 MDL을 넘어 우리측 회담장에 도착한 리 위원장은 기자들이 남측에 오랜만에 온 소감이 어떠냐고 묻자 리 수석대표는 "북남당국이 진지한 입장과 성실한 자세로 오늘 회담을 진지하게 하자는 것이다"라고 답하기도 했습니다 오늘 회담에 신중히 임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되는데요, 한편 오늘 회담을 어떻게 전망하느냐는 추가 질문이 이어지자 리 수석대표는 "잘 될 것이다"라고 답하기도 했습니다 남과 북의 당국자가 회담 테이블에 마주하는 것은 지난 2015년 12월 차관급 회담 이후 25개월 만입니다 우리측 수석대표인 조명균 장관은 오전 7시 30분 쯤 이번 회담으로 평창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이 평화축제로서 치러지게 하고 남북관계 개선에도 좋은 첫걸음이 되게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또 국민들이 갖는 기대에 잘 맞춰서 서두르지 않고 차분하게 회담에 임하겠다고 포부를 밝히기도 했습니다 [앵커] 임 기자, 조 장관의 발언처럼 남과 북이 어떤 보따리를 서로 펼쳐놓고 협의를 이어갈지 관심입니다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 문제는 비교적 수월하게 논의가 오갈 것으로 보인다죠? [기자] 네 우선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합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남북한 최고 지도자가 각각 공개적으로 요청하고 화답하면서 큰 틀에서는 합의가 이뤄진 것이나 다름 없기 때문입니다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와 관련해서는 우선 선수단과 임원진으로 구성된 대표단이 육로로 올지 아니면 항공편이나 선박을 이용할지에 대한 협의가 필요합니다 만약 북측에서 육로로 오게 된다면 군사 당국 간 협의가 필요한 만큼 후속 군사회담이 열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한반도 평화의 상징이 될 수 있는 개회식과 폐회식의 남북 공동입장도 회담 테이블에 오를 전망입니다 북한이 응원단과 예술단까지 파견한다면 대표단과 더불어 입국 경로와 숙소, 안전보장 등의 문제도 합의를 이뤄야 합니다 정부는 북측 대표단의 체류비나 이동편의 지원 문제의 경우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 저촉되지 않도록 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이처럼 세부적인 사항들은 아마도 고위급 회담에서 북한의 대표단 파견과 관련해 큰 틀에서 합의를 이룬 뒤 실무 협의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평창올림픽과는 별도로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여러 현안에서 남과 북이 얼마나 의견 일치를 보고 각급의 후속 회담을 얼마나 성사시킬지가 관심인데요 일단 어제 조명균 장관과 통일부는 군사적 긴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