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 저수지에 '온수 밸브'.. 농업유산 지정 / 안동MBC
2018/12/03 17:16:35 작성자 : 홍석준 ◀ANC▶ 농사짓는 법은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가 납니다 농부들이 토질이나 기후에 적응해온 흔적이 농법에 남아 있는 거죠 잘 보존된 곳은 '국가농업유산'으로도 지정되는데, 의성의 독특한 저수지 운영기법이 국내 열 번째 농업유산에 등재됐습니다 홍석준 기자 ◀END▶ ◀VCR▶ 저수지 물이 빠지는 관로 구멍에 나무 못종들이 박혀 있습니다 차가운 저수지 바닥물 대신 따뜻한 지표수를 먼저 내보내기 위한 겁니다 (S/U) "물속으로 10개 정도의 못종이 이어져 있습니다 지표수에서 가장 가까운 못종부터 제거하기 때문에 햇볕에 데워진 물이 계속해서 공급될 수 있었습니다 " 자연산 '온수 밸브'는 벼 냉해를 예방하는 기능도 했습니다 이런 저수지가 밀집한 의성 금성산 일대가 최근 국가농업유산 제10호에 등재됐습니다 ◀INT▶유동우 계장/의성군 농정과 "(의성 동부) 4개 면에 1,500개 정도의 저수지가 분포합니다 이번 농업유산은 그중에서도 특히 금성산 일원을 중심으로 6백 개 정도가 분포하고 있습니다 " 윗 논에 댄 물이 아래쪽 저수지에 차례대로 다시 모이도록, 저수지를 계단식으로 촘촘하게 설치해 빗물 저장효율을 극대화했습니다 ◀SYN▶이종남 노인회장/의성군 탑리2리 "저기서 여기 못 사이에, 못이 15개 정도 있었 어요 저 못에서 여기 거리가 얼마나 됩니까?" 이 지역 연평균 강수량은 960mm 벼농사에 필요한 최소 강수량 천 2백mm에 한참 못 미치지만, 독특한 저수지 운용 덕분에 마늘 농사까지 이모작도 가능해졌습니다 ◀SYN▶정명철 박사/국립 농업과학원 "세계적으로 찾아보기 힘든 게, 보통 논농사 지역에는 밭농사를 잘 안 짓잖아요, '한전-수전 극적 전환 시스템'이라고 이렇게 표현을 해요 " 의성군은 저수지 군락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조망 시설을 금성산에 만드는 한편, 제주 밭담 등 국내 4곳뿐인 세계 농업유산 등재까지 도전하기로 했습니다 MBC 뉴스 홍석준입니다 ///